Purpose
To identify the biomechanical features for clinical applications through a computational simulation of the fixation of the Femoral Neck System (FNS) with additional cannulated screws for a Pauwels type III femoral neck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cadaveric femurs underwent computed tomography, and the images were transferred to the Mimics ® program, resulting in three-dimensional proximal femur models. A three-dimensional scan of the FNS and 6.5 mm and 7.0 mm cannulated screws was performed to enable computerized virtual fixation of FNS with additional cannulated screws for unstable femoral neck fractures. Furthermore, the cannulated screw used for additional fixation was modeled and used as a cylinder within the Ansys program. The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models were investigated by applying a physiological load virtually.
Results
The maximum von Mises stress value at bone was 380.14 MPa in FNS and 297.87 MPa in FNS+7.0 mm full-thread cannulated screw. The maximum von Mises stress value at FNS was 786.83 MPa in FNS and 435.62 MPa in FNS+7.0 mm full-thread cannulated screw. The FNS group showed the highest maximum von Mises stress values at bone and FNS. For total deformation, the maximum deformation value was 10.0420 mm in FNS and 9.2769 mm in FNS+7.0 mm full-thread cannulated screws. The FNS group represented the highest maximum deformation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Conclusion
Considering the anatomical spatiality and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FNS in unstable femoral neck fractures, when one 7.0 mm full thread cannulated screw was also fixed to the anterosuperior portion of the FNS, significant biomechanical stability was demonstrated.
Pauwels III형 대퇴 경부 불안정 골절의 고정에 사용되는 FNS와 추가 유관 나사를 고정했을 때의 비교 결과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바탕으로 평가하고, 임상 적용을 위한 생체역학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3 0구 사체의 대퇴골 단층 촬영된 이미지를 Mimics® 로 옮겨 3차원 모델을 만들었다. 불안정 대퇴 경부 골절에 가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FNS의 3차원 스캔을 수행했고, 추가 고정에 사용되는 유관 나사는 Ansys에서 모델을 만들어 사용했다. 이 모델들에 대해 가상으로 생리학적 부하를 주어 생체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뼈에 작용한 최대 응력의 수치는 F NS에서 380.14 MPa, FNS+7.0 mm 전산 유관 나사에서 297.87 MPa이었다. FNS에 작용한 최대 VMS 수치는 FNS에서 786.83 MPa, FNS+7.0 mm 전산 유관 나사에서 435.62 MPa이었다. 최대 전변형 수치는 FNS에서 10.0420 mm, FNS+7.0 mm 전산 유관 나사에서 9.2769 mm였다.
불안정 대퇴골두 경부 골절에 있어서 FNS에 해부학적인 공간 및 생체역학적 특성을 고려해 보았을 때, 7.0 mm 크기의 1개의 전산 유관 나사를 FNS 전상부에 고정하였을 때 의미 있는 생체역학적 안정성을 보였다.
To identify the biomechanical features for clinical applications through a computational simulation of the fixation of the Femoral Neck System (FNS) with additional cannulated screws for a Pauwels type III femoral neck fractures.
Thirty cadaveric femurs underwent computed tomography, and the images were transferred to the Mimics® program, resulting in three-dimensional proximal femur models. A three-dimensional scan of the FNS and 6.5 mm and 7.0 mm cannulated screws was performed to enable computerized virtual fixation of FNS with additional cannulated screws for unstable femoral neck fractures. Furthermore, the cannulated screw used for additional fixation was modeled and used as a cylinder within the Ansys program. The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models were investigated by applying a physiological load virtually.
The maximum von Mises stress value at bone was 380.14 MPa in FNS and 297.87 MPa in FNS+7.0 mm full-thread cannulated screw. The maximum von Mises stress value at FNS was 786.83 MPa in FNS and 435.62 MPa in FNS+7.0 mm full-thread cannulated screw. The FNS group showed the highest maximum von Mises stress values at bone and FNS. For total deformation, the maximum deformation value was 10.0420 mm in FNS and 9.2769 mm in FNS+7.0 mm full-thread cannulated screws. The FNS group represented the highest maximum deformation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Considering the anatomical spatiality and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FNS in unstable femoral neck fractures, when one 7.0 mm full thread cannulated screw was also fixed to the anterosuperior portion of the FNS, significant biomechanical stability was demonstrated.
대퇴 경부 골절은 고관절 골절의 약 절반의 비율을 차지하는 흔한 고관절 골절이다.1) 대퇴 경부 골절은 합병증이 많고 예후가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한때 ‘미해결 골절’이라고도 불렸고, 과거에는 신체운동능력이 떨어지고 골다공증이 있는 노인 환자의 낙상으로 인해 발생 빈도가 높았지만 최근 몇 년간 젊은 성인에서 대퇴 경부 골절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2) 일반적으로 젊은 연령일수록 고에너지 부상으로 인한 골절의 빈도가 많으며 수직 방향 골절 패턴으로 확장되는 경향이 있어 노인 환자와는 치료와 접근이 매우 다르다.3) 특히 Pauwels III형 대퇴 경부 골절은 높은 전단력과 내부 불안정성으로 인해 고정 실패 및 불유합의 비율이 상당히 높으며 무혈관 괴사와 같은 합병증이 발생하기도 한다.4) 합병증이 생길 경우 환자에게 심각한 기능적 손상을 불러일으키게 되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 및 견고한 내부 고정술이 시행되어야 한다.5,6,7)
전통적인 치료 중 하나로 다발성 유관 나사를 이용한 고정술이 있지만 불안정 골절에 있어서 전단력 발생 시 내부 고정이 불안정해지기 쉽고 불유합을 유발하는 등 한계점을 지닌다.8,9) 대퇴골두의 안정성은 골유합에 필수적이기 때문에 이를 위해 새롭게 적용된 기술인 Femoral Neck System (FNS)이 기존 다발성 유관 나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대퇴 경부 골절 고정 시 다발성 유관 나사 및 dynamic hip screw (DHS)보다 축 및 회전에 대해 안정적이라고 보고되어 있다.10) 하지만 FNS는 다발성 유관 나사 고정술에 비해 부하가 하나의 기구에 집중되고 좁은 고정 단면적 형태를 띠고 있어서 전단력과 회전 변형에 대한 고정력 및 안정성에 있어 한계점이 예상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치료 대안이 제안되었으며, 이 연구에서는 FNS에 유관 나사를 추가 고정함으로써 발생하는 생체역학적 이득 및 특성에 대해 고정장치 간 비교를 통해 이론적 참고자료를 제공하려 한다. 나아가 이상적인 추가 고정의 방법과 해부학적인 위치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에서 제공하는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Pronto; Hitachi, Tokyo, Japan)을 거친 사체들의 의무 기록을 분석하였다. 근위 대퇴골과 관련이 없는 사인을 가진 성인 30구(남자 15예, 여자 15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나이는 51.2세(범위 21-60세)였고 키는 160.7 cm (범위 146-175 cm)였다. 각각의 사체들을 직접 CT 촬영하였으며 얻은 영상은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DICOM) 파일 형태로 Mimics® 프로그램(Materialise, Antwerp, Belgium)에 전송해 이를 이용한 피질골 및 골수강이 구별되는 3차원 근위 대퇴골 모델 30개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평균적인 뼈의 모델을 통한 거시적인 측면에서의 연구 결과를 얻어내기 위해 stereolithography (STL) 파일로 만들어진 왼쪽 대퇴골의 모델(Sawbones, Vashon, WA, USA)을 구하여 사용하였다.
Pauwels III형 불안정 골절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수평면에 대하여 70° 각도로 대퇴 경부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절단면을 만들었다(Fig. 1A). 각 유한 요소 모델에서 대퇴골은 한쪽 다리에 대하여 하중을 주었고, 66.33 kg의 체중의 300%인 1,950 N의 하중을 1초간 가했다. 무게 부하선(weight-bearing line)은 축면에서 수평축에 대해 15° (Fig. 1B), 정면에서 수직축(중력축)과 3°를 이룬다(Fig. 1C). 대퇴골의 가장 하단 부분으로부터 20 mm 위쪽 평행선까지 모두를 고정시켰다.
Fig. 1
(A) Pauwels type III femoral neck fracture model, and the red arrow is the direction of the force. (B, C) The load vector (red arrow) had an angle of 15° in the axial plane and 3° in the frontal plane, and the distal area was fixed. FNS: Femoral Neck System.
이 연구에 이용될 FNS (DePuy Synthes, Zuchwil, Switzerland)를 재현하기 위해 Ansys 2022 R1 (Ansys, Canonsburg, PA,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제 크기의 모델을 STL 파일로 제작하였고, 마찬가지로 유관 나사 또한 6.5 mm 및 7.0 mm 직경의 실린더 형태의 모델로 프로그램을 통해 제작하여 사용했다. 유관 나사의 나사산 부분과 뼈는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했다. Mimic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Jeong과 Jung11)의 연구를 활용, 가장 이상적이라고 알려진 불규칙한 역삼각형 배열을 적용시켜 사체 대퇴골 모델 30개에 FNS와 3개의 다발성 유관 나사를 가상 고정하였다(Fig. 2A, B).
Fig. 2
(A, B) Safe zone for 3CCS (cannulated cancellous screws) fixation was visible in the view of the femoral neck axis by the transparent mode. (C) Overlapping FNS (Femoral Neck System) on the lower screw virtually.
안정적이라 평가되었던 다발성 유관 나사의 불규칙 역삼각형 배열 중 제일 아래쪽에 위치한 하부 유관 나사의 자리에 FNS의 볼트(bolt) 부분을 가상으로 겹친 후 대체하여 적용하였고,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Hammer12)의 연구를 참고하여 FNS의 볼트 아랫부분이 대퇴 경부 하부 피질골을 지나 대퇴경부경판(calcar femorale)에 걸치도록 위치시켰다.13,14,15) 전방 유관 나사 및 FNS는 최대한 간격을 확보하면서 다발성 유관 나사의 고정방법과 같은 곳에 위치시켰으며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피질골에 3 mm 이하의 거리가 되게 하였다(Fig. 2C).16)
하지만 30개의 모델에 대해, 후상방에 위치한 유관 나사가 FNS의 항회전 나사(antirotation screw)와 간섭이 발생하여 기존에 정의한 FNS와 유관 나사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2개의 유관 나사를 유지할 수 없었다(Fig. 3). 기구 간 충돌 없이 FNS와 2개의 유관 나사를 동시에 이상적인 위치에 고정하기에 공간이 부족하였고, 임상적으로 적용되기에 한계가 있었다. 그리하여 1개의 유관 나사로 한정하여, 추가 고정 시 이상적인 위치를 모색하였다(Fig. 4). Zhang 등17)의 결과에 따르면 안전 구역(safe zone)에 해당하는 위치를 탐색한 결과 후상방보다 전상방 위치에서 넓은 안전 구역을 확보할 수 있어, 임상적으로 유관 나사를 적용하기에 용이하다. 그리하여 단일 전상방 유관 나사 추가 고정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와 동시에 뼈 모델에 각 임플란트를 SpaceClaim (Ansys) 프로그램을 통해 위치시켰다. 단일 유관 나사 추가 고정 시에 유관 나사의 직경의 변화와 전산 나사(full thread screw) 혹은 부분산 나사(partial thread screw)의 차이에 따른 변화가 미치는 영향을 추가로 적용해 보았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물성치로 피질골과 해면골 및 티타늄 합금 임플란트의 밀도, 영률, 푸아송 비(Poisson’s ratio)를 각각 적용시켰다(Table 1).
Fig. 3
Collision between the posterosuperior cannulated screw and anti-rotation screw of FNS (Femoral Neck System).
Fig. 4
(A, B) Ideal position with FNS (Femoral Neck System) and one anterosuperior cannulated screw.
Table 1
Material Properties of the Bone and Titanium Alloy
내부 고정에 사용된 임플란트의 본 미세스 응력(von Mises stress, VMS) 분포를 확인한 결과 최대 VMS 지점이 FNS 단독 사용군, FNS+6.5 mm 전산 유관 나사 사용군, FNS+6.5 mm 부분산 유관 나사 사용군에서 FNS 접합부에 나타났다(Fig. 5). 골절선 내부에 작용한 VMS 분포에서 FNS의 볼트가 닿아 있는 아래쪽에 최대 VMS가 관찰되었다(Fig. 6). 각 군에 대해 뼈와 FNS에 작용한 최대 VMS의 수치를 비교해 본 결과 FNS 단독 사용군에서 뼈와 FNS에 대한 최대 VMS가 다른 모든 군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Table 2).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FNS 단독 고정과 유관 나사 추가 고정을 비교하여 얻을 수 있는 생체역학적 이득에 대해 확인했을 때 뼈에 작용하는 최대 VMS는 FNS에 유관 나사를 추가한 군들이 FNS 단독 사용군에 비해 전체적으로 평균 18.5% 감소했으며 FNS에 작용한 최대 VMS 또한 전체적으로 40%-45% 감소하였다. 그 중 특히 1개의 7.0 mm 전산 유관 나사를 추가한 군에 가해진 최대 VMS가 다른 모든 군들에 비해 가장 낮았으며 그 수치는 뼈에서 297.87 MPa, FNS에서 435.62 MPa이었다. 이는 FNS 단독 사용군과 비교 시 각각 22%, 45%의 감소를 나타낸다.
Fig. 5
(A-E) Stress distribution of internal fixation. The red probe is max von Mises stress. FNS: Femoral Neck System, CCS: cannulated cancellous screws.
Fig. 6
(A-E) Stress distribution of cross-section of the femoral head. The red probe is max von Mises stress. FNS: Femoral Neck System, CCS: cannulated cancellous screws.
Table 2
Analysis Results
1초간 힘을 가했을 경우 예상되는 변형 정도를 확인했을 때 FNS 단독 사용군에서 가장 큰 수치의 변화가 관찰되었다(Fig. 7,Table 2). 힘의 시작점을 중심으로 원위부로 갈수록 변형되는 정도는 줄었으며 힘을 가한 1초 후 결과에서 FNS 단독 사용군에서 시각적으로 유의미한 변형을 관찰할 수 있었다(Fig. 7). 다른 모든 군들의 변형 윤곽선과는 달리 FNS 단독 사용군에서 골절선 부위의 윤곽선이 많이 어긋나 있음이 확인되었다. 변형되는 정도를 시각적으로 5배 증강시켜 구현된 결과를 측면도에서 비교 시 다른 군들에 비해 FNS 단독 사용군의 골절 면에서 피질골의 연속성이 많이 어긋나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8). 대퇴골 경부 하부에 비해 상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간 회전 변형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7.0 mm 전산 유관 나사를 추가한 군에서 9.2769 mm로 가장 낮은 최대 변형 수치를 보여주었다.
Fig. 7
(A-E) Deformation contour of the whole model. FNS: Femoral Neck System, CCS: cannulated cancellous screws.
Fig. 8
(A-E) Deformation contour of the whole model at a scale factor of five times in the lateral view. FNS: Femoral Neck System, CCS: cannulated cancellous screws.
젊은 환자에서의 대퇴 경부 골절에는 고관절 치환술보다 내부 고정이 선호되지만 최적의 고정방법 선택에 대해서는 모든 연구자들의 합의가 이뤄진 것이 아니다. 하지만 불안정 골절 단면에 대해 전단력 및 회전변형을 최소화하는 고정력과 안정성이 클수록 골유합의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한다. 그러한 이유로 대퇴 경부 골절의 치료에는 다양한 내부 고정기구와 방법이 적용되고 시도되어 왔지만, 수술 후 치유 과정에서 관련 합병증의 발생률이 15%-40%에 이른다고 보고되어 있다.1,18) 불안정 대퇴 경부 골절은 높은 전단력과 내부 불안정성으로 인해 고정 실패 및 불유합의 비율이 상당히 높으며 무혈관 괴사와 같은 합병증이 발생하기도 한다.4)
골치유는 해부학적 정복과 안정적인 고정이 필요하며 골절 치유 과정에서 정복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19) 내부 고정의 불충분한 안정성으로 고정 실패 시 내반 경사, 회전 변형 또는 전단력에 의한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불유합 골절로 이어질 수 있다.20,21,22) 이러한 대퇴 경부 골절의 치료 중 해부학적 정복의 확립과 함께 골절에 대한 안정성의 유지는 주로 내부 고정에 의존하게 된다. 좋은 안정성을 제공하는 내부 고정장치의 선택과 고정방법이 골절 정복과 안정화를 유지하는 핵심 요소가 된다. Pauwels III형 대퇴 경부 골절은 높은 전단 응력으로 인해 더 불안정한 것으로 간주되므로 Pauwels III형의 고정에 사용되는 임플란트는 최적의 기계적 저항을 제공해야 한다.23,24)
기존의 다발성 유관 나사 또는 DHS를 사용한 내부 고정이 대부분의 정형외과 의사가 선호하는 방법이다.25) 다발성 유관 나사를 사용한 고정은 DHS를 사용한 고정보다 안정성은 떨어지지만, 큰 절개와 광범위한 연조직 박리가 필요하지 않고 간단하고 최소 침습적이며 저렴하기 때문에 많은 의사들에게 여전히 선호되고 있다.26)
FNS는 최근 몇 년 동안 대퇴 경부 골절의 최소 침습적 고정을 위해 설계된 새로운 임플란트 시스템이다. FNS는 체외 실험에서 Hansson Pins27), DHS, 다발성 유관 나사보다 우수한 각도 안정성과 활강 압축의 기계적 물성을 겸비한 임플란트로 개발되었다. FNS는 내반 변형(varus deformity)에 대한 저항 면에서 유관 나사보다 우수하고 회복된 경관 길이의 지속성 측면에서 DHS와 대등하기 때문에 Pauwels III형의 치료에 적용할 수 있다.28) Teng 등3)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FNS 그룹의 최대 VMS는 유관 나사 그룹 및 유관 나사+1/3관형 플레이트 그룹보다 낮았으며, 3가지 고정 구성 모두가 골절 부분에 가장 가까운 부위에서 응력이 집중적으로 관찰되었지만 FNS는 그 중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어 FNS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이 더욱 확인되었다. 또한 임상 실습에서 Zhou 등9)은 FNS가 유관 나사보다 시각통증점수(visual analog scale)가 낮고 Harris 점수(Harris hip score)가 높으며 합병증 발생률이 낮다는 것을 발견했다. Tang 등29)에 의해 이러한 일관된 결과가 관찰되었으며, 불안정한 대퇴 경부 골절의 치료를 위해 FNS는 다발성 유관 나사 고정술의 적절한 대책으로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다발성 유관 나사에 비해서 좁은 고정 단면적을 보이고, 이는 회전 변형에 취약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활강 볼트(sliding bolt)와 잠금 플레이트 사이의 접합부에서 응력 증가 영역이 관찰된 것을 볼 수 있다(Fig. 5). 그 이유는 짧은 활강 슬리브(sleeve)와 볼트의 긴 작동 거리로 인해 수직하향력이 가해질 때 필연적으로 접합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결과일 수 있다. 따라서 접합부에서의 응력 증가에 주의가 필요했으며, 향후에는 활강 슬리브의 강성을 늘리거나 강화하는 것으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결론이다.3,30)
하지만 저자는 FNS 자체의 강화보다 즉각적인 보완책으로 추가적 유관 나사 고정술을 계획하였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생체역학적 이득을 확인하고, 해부학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위치를 찾아내는 과정을 시행했다. Jeong과 Jung11)의 연구를 참고하여 첫 시도에는 유관 나사 2개를 추가 적용하는 것을 고려해 보았지만, 시험체로 쓰인 뼈 모델마다 통일된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으며 FNS의 항회전 나사와의 충돌이 빈번히 발생하여 실제 임상적 적용에는 많은 제약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그리하여 FNS에 1개의 추가적 유관 나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에 대해서 3D modeling 과정을 통해 충분한 공간이 확보됨을 확인하였다. 전위된 대퇴 경부 골절 환자 395명에 대한 Gurusamy 등31)의 분석에서 전방 나사의 위치는 불유합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측면상에서의 유관 나사의 간격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전방 나사의 이상적 위치 선정에서, 대퇴골 능선을 지표로 직하방에서 전방 피질골에 최대 근접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불유합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최대한의 나사못 간격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후상방 위치는 대퇴골두로의 혈액 공급을 하는 중요한 혈관들이 지나다니므로 천공 발생 시 대퇴골두의 무혈관 괴사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한다.17) 그리하여 전상방에 단일 추가 고정이 가장 임상적 적용에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불안정성 대퇴 경부 골절의 경우 완벽한 해부학적 정복을 얻기가 어렵고, 후방경사가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는 좁아진 전상방 구역에 추가 유관 나사를 고집하기보다, 후상방 공간에 추가 유관 나사를 고정함으로써 생체역학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유관 나사의 나사산과 직경이 생체역학적으로 영향이 있는지에 대해 추가적인 실험을 하였다. 예상대로 FNS 단독 실험군보다 추가로 유관 나사를 쓴 다른 모든 실험군에서 하중을 분산시키고 더 많은 안정성을 준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FNS만 사용한 실험군보다 나머지 모든 실험군에서 뼈와 FNS에 작용하는 VMS가 줄었으며 유관 나사의 직경이 6.5 mm보다 7.0 mm일 때, 부분산 나사보다 전산 나사 사용 시 뼈와 FNS에 작용하는 VMS가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변형의 정도를 시각적으로 5배 증강시킨 결과를 보면(Fig. 8) FNS 단독 사용군에는 윗부분이 상당히 뒤틀려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이로써 회전에 대한 저항성을 다른 대조군들과 비교해 볼 수 있다. 이는 뼈와 FNS에 작용하는 응력을 낮춰 주는 것으로 유의미한 안정성 부여를 확인하였고, 회전에 대한 변형도 막아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부분산 나사를 통해 활강을 시킴으로써 골 압박을 기대할 수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에 대한 의미 있는 결과는 얻어내지 못했다.
컴퓨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연구에서 여러 경향성을 파악할 수는 있었으나, 동시에 제반의 한계점이 존재한다. 모델의 수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든 임플란트의 나사산 부분을 실린더로 단순화하고 주변 근육과 인대가 골절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다. 그리고 나사산에 작용하는 저항을 무시하고 뼈와 나사산을 접착 형태로 가정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두 부분의 골절의 안정성과 가장 수직 방향의 골절 패턴(Pauwels III형)만을 가정하여 시험하였다. 결과는 고무적이었지만 실제 임상 사례는 더 많은 요소들이 복잡하게 관여한다. 사용된 뼈의 모델은 평균적인 정형화된 모델로, 임플란트 배치 실험에 사용된 사체의 골질 및 골 형태는 모두 달랐다. 컴퓨터를 이용한 재현 연구는 피질골 지지를 위한 가장 이상적인 유관 나사 및 FNS의 위치를 확인할 수는 있었지만 컴퓨터를 이용한 임플란트들의 위치가 정상적인 대퇴골에 대해 수작업으로 진행되었던 점을 고려했을 때 수기적 오류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골절이 없는 대퇴골을 컴퓨터를 이용해 골절을 발생시킨 것이므로 이 결과가 실제 임상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 연구는 방향성을 보기 위한 예비 논의에 불과하며 추가 비교를 위해서는 더 많은 임상 연구 응용 프로그램 샘플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를 활용하여 Pauwels III형뿐만 아니라 경부 기저부 골절(basicervical fracture)을 포함한 다양한 근위 대퇴골 불안정 골절에서 추가 고정에 적용시켜 볼 수 있다. 향후 보다 많은 재현 연구를 통해 다양한 각도와 길이의 유관 나사를 추가할 수 있는 이상적 위치를 연구해 볼 가치가 있다. 또한, FNS에 나사를 추가로 고정하여 결과를 비교한 연구는 현재 거의 없어 앞으로의 방향성에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Mimics®와 Ansys 프로그램으로 환자의 영상 자료를 활용해 수술 전 가상 고정 및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술의 계획 수립에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나아가 다양한 술기의 수술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상용화로 임상적 접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저자는 기대하고 있다.
대퇴 경부 불안정 골절에 FNS에 추가로 유관 나사를 고정할 때 그 위치는 전상방이 공간이 넓고 FNS와 간섭이 생기지 않으며 안전 구역에도 부합해 가장 이상적인 위치이다. 유관 나사 하나를 추가함으로써 대퇴골두의 회전 변형을 줄일 수 있으며 뼈와 FNS에 작용하는 응력을 낮출 수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퇴 경부 불안정 골절에 FNS와 유관 나사 1개를 추가 고정하는 것이 FNS만 단독으로 고정하는 경우보다 안정적이고 생체역학적 이득이 있다고 할 수 있다. 6.5 mm보다 7.0 mm 직경의 유관 나사를 사용했을 때 뼈와 FNS가 받는 스트레스가 확연히 줄었지만 전산 나사와 부분산 나사의 비교에서는 의미 있는 감소 효과의 결과를 얻지는 못하였다.
Financial support:None.
Conflict of interests:None.